“종합소득세, 제대로 알고 내고 계신가요?”
납부만 하고 끝내셨나요? 사실 종합소득세는
절세도, 환급도 가능한 세금입니다.
“누가 내야 하나요?”,
“소득이 적어도 신고해야 하나요?”,
“경비 처리는 어떻게
하나요?”, “공제는 어디까지 받을 수 있나요?”
2025년 종합소득세 신고 시즌이 시작됩니다. 모든 개인사업자, 프리랜서, 임대소득자 등은 반드시 지정된 기한 내에 신고를 완료해야 가산세를 피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언제까지 신고해야 하지?", "연장 가능한가?", "세무서 말고 온라인으로도 할 수 있나?" 등 실무에서 자주 나오는 질문들을 명확히 알지 못해 혼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종합소득세 신고기간과 절차를 표로 깔끔하게 정리해 드립니다. 미루다 놓쳐서 가산세 맞지 말고, 정확한 일정 체크로 여유롭게 신고하세요.
2025 종합소득세 신고기간 요약표
구분 | 내용 | |
신고 대상 |
2024년 1월 1일 ~ 12월 31일 사이 소득 발생한 {개인사업자, 프리랜서, 임대소득자, 겸업자 등} |
|
신고 기간 | 2025년 5월 1일(목) ~ 5월 31일(토) | |
오프라인 마감일 |
2025년 5월 30일(금)까지 세무서 방문 접수 필요 (5월 31일은 토요일) |
|
제출 방법 |
온라인 : 홈택스(PC) / 손택스(모바일) 오프라인 : 관할 세무서 직접 제출 |
|
연장 가능 여부 |
세무대리인 신고, 또는 정당한 사유(질병, 해외체류 등) 있는
경우 최대 2025년 6월 30일까지 연장 가능 |
|
주의사항 |
- 마감일은 접속자 급증으로 홈택스 접속 지연 우려 - 신고 지연 시 가산세 및 불이익 발생 |
2025년 종합소득세 신고 일정
2025년 종합소득세 신고는 2024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발생한 소득을
기준으로 합니다.
국세청이 지정한 법정 신고기간은 2025년 5월 1일(목)부터
5월 31일(토)까지이며, 홈택스를 통해 비대면으로 24시간 신고가 가능합니다.
오프라인 신고 유의사항
- 2025년 5월 31일이 토요일이므로, 세무서 방문 신고는 5월 30일(금)까지 완료해야 합니다.
- 세무서 업무는 평일 09:00~18:00 운영이며, 토요일 및 공휴일엔 운영하지 않는다.
연장 신고가 가능한 경우
세무대리인에게 신고 위임한 경우
- 기장/세무신고 대행을 맡긴 사업자에 한해 6월 30일(월)까지 연장 가능
- 연장신고는 ‘전자신고’로만 가능하며, 연장 대상자에게는 국세청이 사전 안내
정당한 사유가 있을 경우
- 질병, 입원, 해외체류 등 불가피한 사유 증빙 시 연장 신청 가능
- ‘신고기한 연장 신청서’ 제출 필요
신고 지연 시 불이익
- 가산세 부과 : 미신고 또는 과소신고 시 무신고가산세 + 납부지연가산세 발생
- 환급 지연 : 환급 대상자도 늦게 신고하면 늦게 입금됨
- 세무조사 리스크 : 반복적인 신고 지연 시 조사 가능성 ↑
결론
2025년 종합소득세 신고는 5월 1일부터 31일까지, 단 오프라인은 5월 30일(금)까지입니다. 미리 신고 일정을 체크하고, 필요시 세무대리인과 연장 여부도 상담해 보세요. 정확한 일정 파악이 곧 절세의 시작입니다!
Tags:
income ta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