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정산 시즌, 가장 자주 나오는 질문 중 하나
“헬스장 끊었는데 소득공제 되나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헬스장 이용료도 ‘문화비 소득공제’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단,
모든 헬스장이 되는 건 아니고 확인 방법이 꼭 필요합니다.
👇 헬스장이 소득공제, 등록된 사업장 확인 방법은? 아래를 클릭하세요!
문화비 소득공제란?
- 총 급여 7천만 원 이하 근로자 대상
- 도서·공연·박물관·체육시설 등 ‘문화생활’에 해당하는 소비에 대해 카드 사용액 기준 최대 100만 원 한도까지 30% 소득공제 가능
- 헬스장(체육시설)도 조건 충족 시 포함됨
**일반 카드공제 한도(300만 원 초과분)**에 추가로 적용됨
헬스장이 소득공제 대상이 되는 조건
조건 | 설명 |
사업자 등록된 체육시설 | 업종코드가 “헬스클럽” 또는 “체육시설 운영업” |
신용카드·체크카드 결제 | 문화비 항목에 자동 분류되는 경우 |
⚠ 문체부 등록 여부 | 일부 필라테스·요가 시설은 등록 필요 |
개인 트레이너 직접 계좌이체 | 공제 불가 |
헬스장 문화비 소득공제 확인방법
1.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확인
- 홈택스 연말정산 간소화
- 카드 사용 내역 → 문화비 항목에 포함됐는지 확인
- 포함되면 자동으로 공제 적용
2. 사업자 등록 상태 확인
- 국세청 사업자등록조회
- 헬스장 사업자번호 입력
- 업종코드가 체육시설/헬스클럽 등일 경우 가능성 높음
3. 문체부 체육시설 등록 확인
-
문화체육관광부 체육시설 검색
→ 등록 체육시설이면 가능성 높음
→ 등록 안 된 필라테스/요가 학원은 대부분 공제 불가
이런 경우는 공제 안 됩니다
상황공제 | 가능 여부 |
외국 헬스장 이용 | 대상 아님 |
현금 결제 + 영수증 없음 | 공제 불가 |
개인 PT 계좌이체 | 업종 등록 안 됨 |
대형 쇼핑몰 내 비등록 피트니스센터 | 업종 분류에 따라 제외 가능성 있음 |
헬스장 공제 대상인지 빠르게 확인하는 3단계
- 카드 사용 내역이 문화비로 잡혔는가?
- 홈택스에서 업종코드가 체육시설로 등록됐는가?
- 문체부 등록 여부나 현금영수증 발행 여부가 명확한가?
✔ 이 3가지만 확인하면 공제 가능 여부 거의 90% 이상 판단 가능
요약
- 헬스장도 문화비 소득공제 대상 가능
- 단, 사업자 등록 상태 + 카드/영수증 여부 + 업종 코드가 핵심
- 개인 거래, 미등록 시설, 현금 무증빙 결제 → 모두 제외
- 연말정산 전 반드시 간소화 자료에서 '문화비 항목 포함 여부' 확인하세요
💬 소득공제 놓치면 수십만 원 손해입니다.
헬스장도 운동만 하지
말고, 세금도 운동합시다.
Tags:
year-end settlement